
통합민주당 공동대표와 민주당 대표를 지낸 손학규 전 대표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를 지지하고 나섰다. 한 대행이 대통령이 되면 자신의 임기를 단축해 권력구조를 개편하는 개헌을 실현함으로써 7공화국을 열고, 그같은 과도정부의 수반을 맡는 것으로 그친다는 조건이 붙었다.
손 전 대표는 23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중요한 것은 한덕수 권한대행 자신의 의지”라며 “그분이 확실하게 대선에 나서서 나라를 구하겠다, 이런 의지를 확실히 갖고 그걸 표명을 하는 것이 첫째”라고 말했다.
손 전 대표가 "한덕수 추대위원회에는 참여하지 않는다"고 밝히자 김현정 앵커가 “한덕수라는 인물이 대통령감으로 부적절하다는 부분에 대한 망설임이신지, 아니면 적절은 한데 그분 결심이 아직 안 섰으니 내가 나설 수 없다라는 말씀이신지”라고 물었다.
이에 손 전대표는 “우리나라의 위기에 대응하는 데는 한덕수 그 대행이 지금 거론되고 있는 어떤 후보자보다도 경쟁력이 있다, 가장 낫다”고 평가했다. 또 “그분 경력 중에 보면은 OECD 대사도 하고 주미 대사도 하고 또 경제부총리 그리고 국무총리 이런 걸 통해 트럼프의 우리나라에 관계된 것에 대응할 능력이 충분히 갖춰져 있다”고 부연했다.
손 전 대표는 또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이 통상 압력 통상의 관세 전쟁인데”라며 “그런 경력과 거기에 따른 경륜이 있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지금 맡아야 될 대통령은 5년 임기 대통령이 아니다”라며 “사실은 이 위기관리 대통령이 돼야 된다”면서 개헌 필요성을 언급했다.
손 전 대표는 “87년 체제를 이제 정리하고 7공화국을 만들어야 된다”며 내각제 개헌을 주장했다. 그는 “대통령의 무한하고 절대적인 권력이 이 나라를 지금 어지럽히고 있는 게 그게 하나고 둘째는 민주화가 되면서 국회의 권한이 아주 강화됐다”며 “야당이 막강한 그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니까 탄핵이다 특검이다 대통령의 거부권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입법 폭주에다가 예산까지 자기네들 예산 마음대로 들어주지 않으니까 대통령실, 감사원, 국정원, 경찰, 검찰 특활비 다 없앴다”며 “이렇게 행정부와 의회가 충돌을 하니까 정치가 불안정해졌다”고 진단했다.
손 전 대표는 일각에서 대통령 4년 중임제와 국회 양원제를 언급하는 것과 달리 “대통령제를 없애자”고 주장했다. 그는 “국회와 행정부가 권력 일치가 돼서 정치 안정을 기하는 것 그것이 7공화국 체제가 돼야 되고 저는 그것을 내각제라고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손 전 대표는 “그 임무를 하는 소위 과도정부적인 이런 대통령이 돼야 된다”며 “총선이 2028년이다. 그때까지 (대통령을) 3년만 하겠다, 그러면 저뿐만이 아니라 그 많은 사람들이 도울 자세가 돼 있다”고 의미심장한 말을 했다.
송원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