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일자 서울신문 사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원내대표로 선출되자, 국민의힘과의 협치를 당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서울신문은 “‘입법 폭주’라는 야당 시절의 오명을 되풀이해선 안 된다”고 밝혔다. 한국일보도 “’슈퍼 여당’이 된 것은 국민의 선택이지만, 그렇다고 면죄부를 받은 것은 아니다”라며 “협치 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경향신문도 협치를 강조하면서도 “국민의힘의 발목 잡기에는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신문은 16일 <巨與 김병기 원내대표, 독주 말고 ‘민생 회복’ 협치를>이라는 사설에서 민주당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인 법안에 대해 “법안별 성격과 파급력에 따라 사회적 합의와 절차적 정당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입법 폭주’의 야당 시절 오명을 집권당으로서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사설은 “김 원내대표가 야당과의 정례 협의를 예고한 것은 바람직한 출발”이라면서 “전 정부의 여당이 대통령실 지침에만 의존하다 ‘용산 출장소’로 불린 전례를 반면교사로 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어 “집권당이라면 ‘민생 우선’의 원칙을 구호가 아닌 실천과 결과로 증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일보도 이날 <여당 새 원내지도부 출범...'개혁 속도전'과 '협치' 조화를>이라는 사설을 통해 “민주당은 국회 과반 의석을 점하고 있고, 법안을 국회 본회의에 회부하기 전 마지막 관문인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도 민주당 몫”이라며 “'슈퍼 여당'의 원내사령탑으로서 경제살리기 입법에 박차를 가하되, 정치 정상화에도 힘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설은 “사회 각 분야 개혁 과제 실현은 국민이 대선에서 이 대통령을 선택한 이유 중 하나일 것”이라면서도 “그렇다고 정부·여당이 ‘과속 면죄부’를 받은 것은 아니다. 오늘 선출되는 국민의힘 새 원내대표와 함께 새로운 협치 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밝혔했다.
경향신문은 <김병기 거여 원내사령탑, 국난 넘고 민생·협치 이끌라>라는 사설에서 “불필요한 규제를 혁파하면서 공정한 경제생태계를 구축하는 개혁입법이 김 원내대표의 어깨에 얹어졌다”며 “국민적 신뢰를 잃은 검찰·법원·감사원을 개혁하고, 권력 친위대로 얼룩진 인권위·권익위·방통위·방심위의 흑역사도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설은 “국회 운영도 힘으로 밀어붙이는 독선·독주를 삼가고, 쟁점 법안 처리와 국정과제 선후를 가리는 과정에서 야당·시민사회와 소통하는 협치 리더십을 유념해야 한다”면서도 “야당의 대안 없는 발목잡기엔 단호하게 대응해 개혁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