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에서 지명된 첫 장관 후보자들이 잇따른 의혹 제기에 해명을 제대로 하지 않아 비판의 목소리가 빗발치고 있다. 중앙일보는 거대 여당이라는 권력으로 의혹을 묵살하는 것 아닌지 의심하고 있고, 동아일보도 더불어민주당이 인사청문회를 있으나 마나한 절차로 여기고 있다는 지적을 했다. 서울신문은 국민의힘이 부적격자를 거를 수 있도록 제역할을 촉구했다.
중앙일보는 7일 <의혹 후보자마다 해명은 않고 "청문회서 말하겠다">는 사설을 통해 “이재명 정부의 첫 장관 후보자들에게 갖가지 의혹이 제기된다”며 “모두 국무위원 후보자로서 심각한 결격 사유가 될 수 있으나 당사자들은 명확한 설명이 없다”고 꼬집었다.
사설은 “공직자의 논문 표절이나 농지법 위반은 더불어민주당이 강력하게 비난해 온 사안”이라면서 “그런데 이번 정부 장관 후보자들은 각종 의혹을 성실히 해명하지 않은 채 청문회 때 말하겠다는 식”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부 여당이 거대 의석을 믿고 검증 절차를 무시하면 결국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며 “무소불위의 권력을 손에 쥐었다고 첫 내각 구성부터 국무위원 후보자들의 의혹을 묵살하고 지나가면 국민의 신뢰는 생각보다 빨리 허물어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동아일보도 이날 <의혹 해명은 청문회로 미루기… '하루만 버티면 통과' 안 된다>는 사설에서 “연구 부정, 부동산 투기, 편법 증여, 공직자 이해충돌 등 석연찮은 점이 많다”며 “후보자들은 충분히 납득할 만한 해명이나 증빙 자료를 내놓지 않은 채 논란을 키우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시간을 끌다가 ‘청문회 하루만 버티자’는 태도로 볼 수밖에 없다”며 “국회 표결을 거쳐 임명된 김민석 국무총리도 재산 의혹이 커지자 청문회 때 밝히겠다고 했지만 정작 당일에는 어떤 자료도 제출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사설은 “총리와 달리 장관 후보자는 국회 인준 표결을 거치지 않는다. 청문회 뒤 야당이 반대해도 대통령은 임명할 수 있다”며 “그렇다고 의혹을 뭉개는 것은 고위 공직자 후보자의 자질을 검증하기 위해 법률로 만든 인사청문회 자체를 형해화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서울신문은 <심상찮은 장관 후보자들 의혹, 청문회 전 해명 필요하다>는 사설을 통해 “야당이 요구하는 자료 제출에 성실히 응하지 않고 버티다 임명된 김 국무총리의 전례를 따라 하겠다는 안일한 생각이라면 오산”이라며 “국민이 납득할 만한 해명을 당장 내놓든지 그럴 자신이 없다면 스스로 거취를 정하는 것이 도리”라고 밝혔다.
사설은 “의혹과 자질을 검증해야 할 야당이 제구실을 못 하는 것도 문제”라며 “줄줄이 이어질 장관 후보자들의 청문회에서는 송곳 검증으로 부적격자는 걸러질 수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