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항공이 국내 무인기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해외 방산 기업들과 손잡고 차세대 무인기 성장 동력을 확보해 해외 방산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는 입장이다.
1일 뉴시스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1977년 첫 발을 들인 이래 무인기 사업을 꾸준히 연구·개발하고 있다.
대한항공이 처음 무인기 개발에 착수한 모델은 근접감시용 무인항공기 KUS-7이다. 정부 주도 프로젝트에 참여해 2007년 KUS-7를 우리 기술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2009년에는 전술무인기 KUS-9을 잇따라 개발했다.
탄소섬유 복합재를 적용해 기본 무인기의 절반 수준으로 크기를 줄이고, 비행 시간을 늘리는 한편, 활주로가 없는 산악 지형에서 이착륙 가능한 시스템을 적용했다.
현재 대한항공은 무인기 전담 사업부를 운영하며 국내 무인기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소형 드론부터 대형 무인기까지 다양한 플랫폼을 다룬다.
중고도 무인기(KUS-FS), 사단정찰용 무인기(KUS-FT), 다목적 무인 헬기(KUS-VH), 수직이착륙 무인기(KUS-VT) 등 우리 군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제 활용하는 무인기 다수를 자체 개발했다.
특히 대한항공이 4년여에 걸쳐 개발한 사단정찰용 무인기는 국내에서 최초로 무인기 감항인증을 받으며 국내 무인기 개발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 무인기는 2014년 운용시험 평가 결과 '전투용 적합 판정' 및 국내 최초의 무인항공기 '형식 인증'을 동시에 획득했다. 부품 국산화율도 95%에 달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국내 항공우주사업의 역량 강화와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지금까지 축적해온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있다"며 "한국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뉴시스에 밝혔다.
트루스가디언 편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