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9.7 대책 모두 참담한 결과만… 신고가 되레 늘었다

  • 등록 2025.10.20 11:38:27
크게보기

직방이 2025년 6월부터 10월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 데이터 분석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6월 22%에서 9월 24%로 상승

 

6·27 대출 규제 후 주춤했던 아파트 매매 시장이 다시 들썩이면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직전까지 신고가 거래가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뉴시스에 따르면, 직방이 2025년 6월부터 10월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6월 22%에서 9월 24%로 상승했다.

 

10월은 아직 초반 거래가 진행 중이라 누적 건수는 적지만, 현재까지 집계된 신고 기준으로는 신고가 비중이 9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는 게 직방의 설명이다.

 

지난 9월 기준 규제지역인 서초구는 신고가 비중 54%로 가장 높았고, 강남구 42%, 용산구 35%, 송파구 32%를 기록했다.

 

마포구(44%)·성동구(43%)·광진구(50%)·동작구(36%)·강동구(37%) 등 이번 대책에서 규제지역으로 새로 지정된 '한강벨트'도 신고가 비중이 빠르게 상승했다. 핵심지부터 거래 회복이 나타난 셈이다.

 

강남3구와 한강벨트에서 시작된 거래 회복세가 주변으로 퍼지며 영등포구(29%), 양천구(28%), 서대문구(24%) 등도 같은 기간 신고가 거래 비중이 확대됐다.

 

이와 대조적으로 노원(1%)·도봉(2%)·금천(2%) 등 외곽 일부 지역은 신고가 비중이 한 자릿수에 머물며 확산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경기도의 흐름도 서울과 유사하게 핵심 축을 중심으로 회복이 전개되는 모습을 보였다. 9월 기준 과천(57%), 성남 분당구(43%), 하남(11%)등에서 신고가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성남 수정구(21%)·중원구(23%)·의왕(5%)·안양 동안구(9%) 등에서도 신고가 사례가 확인됐다.

 

다만 확산 속도는 지역별 격차를 보였다. 용인 수지(8%)·수원 장안(8%)·팔달(6%)·광명(7%) 등 이른바 중간권은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인 반면, 비규제지역은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제한적이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10·15 대책 이후 부동산 시장 향방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대책 발표에 따른 적응 기간이 불가피해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층은 핵심 입지 중심으로 이동을 이어가고, 실수요층은 예산에 맞춘 대체 지역이나 중간 가격대 주택을 선택하는 흐름을 보여 시장 전반의 동반 상승보다는 입지·상품성·자금 여건에 따른 '선택적 회복' 구조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정희창 기자 

정희창 기자 jhc1777@naver.com
Copyright @바른언론 트루스가디언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227 3층 바른언론시민행동 등록번호: 서울 아54705 | 등록일 : 2023.2.20 | 대표·발행인: 김형철 | 편집인: 송원근 | 전화번호 : 02-711-4890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송원근 02-711-4890 wksong7@naver.com
Copyright @바른언론 트루스가디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