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하이밍 전 주한 중국대사의 망언이 알려지면서 ‘사회정의를바라는전국교수모임’(정교모)은 그를 규탄하고, 이재명 대통령의 입장 표명과 주한 대사에게 외교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밝혔다.
싱하이밍 전 대사는 지난달 29일 베이징에서 열린 ‘제25차 한·중 고위 지도자 포럼’에서 한국 정부를 향해 “반중(反中) 극우 세력을 단속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정교모는 1일 성명을 통해 “대한민국의 주권을 정면으로 침해하는 내정 간섭이자 외교적 결례에 해당한다”며 “1961년 비엔나 협약 제41조에서 정한 외교관의 내정 불간섭 의무 등 핵심 규범을 모두 직접적으로 위반하는 심각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싱하이밍 전 대사는 2023년 6월 8일 서울 성북구 중국 대사 관저에서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였던 이재명 대통령과 회동할 때도 유사한 태도를 보이며 한국 정부의 외교 노선을 노골적으로 비판했다”며 “야만적인 언사가 15분간 이어지는 동안 이 대통령은 아무런 항의나 제지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정교모는 “더욱 심각한 문제는 국내 언론과 좌파 성향 시민단체들의 이중적 태도이다. 소위 ‘촛불연대’ 등의 단체들은 과거 미국과 관련된 사안에서는 사사건건 대사관 앞 집회를 번번히 열어왔다”면서 “이번 중국의 주권 침해적 망언에 대해서는 놀라운 정도로 침묵을 지키고 있다. 이는 원칙과 정의가 아닌 이해관계와 진영 논리에 따른 선택적 분노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또한 “공적 무대에서 반복적으로 한국의 외교정책을 비난하고 주권적 선택을 부정하는 발언을 하는 것은 단순한 싱하이밍 전 대사 개인 의견의 표출이 아니다”라며 “그 배경에는 중국 공산당의 전랑외교(戰狼外交, Wolf Warrior Diplomacy) 전략과 초한전(超限戰, Unlimited Warfare)이라는 음모가 작동하고 있음을 합리적으로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정교모는 “이번 사건은 단순하고 단편적인 외교적 소동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주권 국가성과 민족 주체성을 시험하는 중대한 분기점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며 이재명 정권에 △주한 중국대사를 초치해 외교적 책임을 물을 것 △이번 사안에 대한 명확한 대통령의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