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지난 6일 "21대 총선을 앞두고 국민의힘이 '신천지'와 일종의 유착관계가 있다는 허위 의혹을 제기한 황희두 전 민주당 총선 공동선대위원장(현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이사)에게 법원이 800만원을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다"며 "가짜뉴스가 약 4년 만에 철퇴를 맞은 것"이라고 전했다. 국민의힘 미디어커뮤니케이션특별위원회(위원장 윤두현)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서울남부지방법원은 5일 국민의힘이 황 이사를 상대로 제기한 명예훼손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황희두가 국민의힘 측에 800만 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국민의힘은 앞서 지난 2020년 2월 24일 자신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서 '국민의힘이 신천지와 유착관계가 있다'고 주장한 황 이사를 명예훼손 및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윤 위원장은 판결에 대해 “재판부는 황희두가 당시 특정 정당인 신분으로서, 총선 직전 시점에 단정적 표현으로 국민의힘 및 소속 정치인의 명예를 훼손해 부정적 평가를 초래했다고 판시했고, 단순한 의견 표현에 불과하며 구체적으로 사실을 적시하지 않았다는 황희두 측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의혹 제기라는 허울 뒤에 숨어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이 6일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지명을 받았다. 이동관 위원장이 더불어민주당의 탄핵 시도에 맞서 자진 사퇴한 지 5일만이다. 김 위원장은 특수부 검사 출신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검찰 선배’다. 김 후보자에 대한 지명 발표가 나자마자 한겨레와 경향이 ‘방송 장악 다걸기’라며 팔걷고 나섰다. 중앙은 윤 대통령이 직접 설득했다는 인사 후문에 초점을 맞췄고 조선은 ‘검사들의 요직 진출’을 지적했다. 한겨레는 7일 새벽 인터넷판 사설 <이동관 후임에 ‘검찰 선배’, 방통위 독립성은 안중에 없나>에서 “방송·통신 업무 경력이 전무한 김 후보자가 권익위원장에 취임한 게 겨우 다섯달 전이다. 방통위의 핵심 가치인 방송의 독립성과 중립성 보장은 안중에 없는, ‘이동관 이후’에도 방송 장악에 ‘다걸기’를 하겠다는 윤 대통령의 오기가 노골적으로 드러난 인사”라고 지적했다. 이 사설은 “김 후보자는 2007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이명박 전 대통령의 도곡동 땅 차명 보유와 비비케이(BBK) 의혹 사건을 지휘해 ‘무혐의’ 결론을 냈다. 2009~2010년 대검 중수부장 재직 당시에 중수2과장이던 윤 대통령과 함께 근무했고, 지난 대선 때는 윤 대통령 캠프
베트남에서 지난달 11일(현지시각) 마약류를 유통한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은 한국인 2명 중 한 명이 전직 국정원 직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6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베트남 호찌민 가정소년법원에서 마약 밀매 등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은 일당 중 한 명인 김모(63)씨는 전직 국정원 직원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김씨는 1987년 1월 국정원 전신인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에 입직해 1999년 9월 30일 면직된 것으로 전해졌다. 면직 사유는 사표 수리였지만, 밀수 사건에 관여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지난 1999년 국정원 부산지부 항만분실에서 보안책임자인 항만기록계장으로 근무했다고 한다. 김씨는 국제여객부두 보안책임자라는 직책을 이용해 밀수에 개입하기 시작했다. 그는 같은 해 9월 23일 오후 5시 밀수 일당이 한·일 간을 왕래하는 ‘부관 페리호’로 일본제 골프채 519개가 담긴 종이상자 4개를 부산항 국제여객부두에 들여오는 데 도움을 주고, 이를 외부로 반출하려 하다 검거됐다. 이전에도 김씨는 같은 방식으로 세 차례 더 밀수에 관여해 골프채 1500여개를 밀수입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사건으로 김씨는 관세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6개월, 벌금 4억
KBS, MBC, YTN, 연합뉴스TV 등 공영언론과 지상파방송의 편파·왜곡 보도에 대해 감시활동을 벌이고 있는 공정언론 국민연대(운영위원장 최철호, 이하 공언련)는 11월 마지막 주(11.25-12.1) 모니터링 결과 모두 38건의 불공정 보도 사례를 지적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특히 MBC뉴스데스크는 문재인 정부 시절 조국 전 장관 임명을 ‘원칙 지킨 정면돌파’ 임명으로 추켜세웠으나, 윤석열 대통령의 김명수 합참의장 임명에는 야당을 무시하는 ‘임명 강행’으로 몰아가는 편파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사별(TV, R포함)로는 MBC가 30건으로 가장 많았고, KBS와 YTN이 각 3건, CBS 2건이 지적됐다. 공언련은 이 가운데 편파·왜곡 정도가 심한 8건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고발하기로 했다. □ 주간 편파왜곡 방송 8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고발 1. [MBC 뉴스데스크] [조국 장관 때는 ‘원칙 지킨 임명’....윤 대통령 합참의장은 ‘임명 강행’] 11월 27일 / 합참의장 임명 등 / 프레임 왜곡(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제9조 공정성 위반) MBC 뉴스데스크가 문재인 정부 시절 조국 전 장관을 임명할 때에는 ‘원칙 지킨 임명’으로 추켜세우더니
중국 당국이 최근 한국으로의 산업용 요소 수출 통관을 보류하자 국내 관련 업계는 '제2의 요소수 대란’으로 번질 상황에 대비해 다양한 대응책을 검토 중에 있다. 중국 당국에서 최근 벌어진 요소 수출 중단 문제가 자국 내 요소 수급 문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한·중 간의 원활한 공급망 협력 기조에 변함이 없다는 기본 입장을 우리 측에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일 중국 베이징에 있는 중국 상무부에서 열린 '제5차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에 참석한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은 왕서우원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협상 대표 겸 부부장과 만나 '공급망 핫라인'을 가동하기로 합의하는 등 이번 요소 수출 제한 문제가 양국 관계의 부담 요인이 되지 않도록 관리하기로 했다. 6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한국의 관세청에 해당하는 중국 해관총서(관세청)는 지난달 30일 중국 현지 기업이 한국의 한 기업에 수출하려는 산업용 요소의 통관을 돌연 보류했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 최대 명절에 해당하는 춘제(春節) 전까지 요소 공급량이 확실히 줄어들 것이라고 보도했다. 매년 10월부터 다음 해 3~4월까지는 요소 비료 성수기다. 하지만 중국 내 요소 생산에 일부 차질이 빚어지
이 책은 문재인 정권 5년의 암흑시대를 주제별로 6개의 분야로 나누어 문재인 시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로부터 우리 한국인이 얻어야 할 교훈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대통령 문재인과 그 정권의 실정과 폭정, 경제 파탄과 국격 추락의 실체를 낱낱이 들추어 훗날의 반면교사로 삼고자 하는 징비(懲毖)의 기록이다. 문재인 정권 5년의 암흑시대를 주제별로 5개 장으로 나누었다. 1장은 문재인의 ‘국가 정체성과 법치 파괴’를 테마로 하여 ‘주사파 정치세력의 저강도 혁명’(김주성), ‘문 디스토피아의 파노라마’(조성환), ‘대한민국을 범죄도시로 만드는 검수완박’(이호선)으로 구성되었다. 2장은 복지 포퓰리즘에 기댄 문재인 정권의 ‘경제 파탄’을 주제로 하여 ‘좌파 이념 편향 경제 실정과 한국경제의 총체적 붕괴’(오정근), ‘경제와 진실 추구의 다층적 함의’(이종은), ‘문재인 부동산 정책, 나락으로 떨어진 국민의 삶’(박은숙)으로 구성되었다. 3장은 ‘외교 및 국가안보 와해 참사’를 주제로 ‘국가정보시스템이 처참히 무너지다’(박진기), ‘전후 국제법 질서의 부정과 반일정책’(이창위), ‘문재인 정권의 반일 바람몰이’(홍승기)로 채워져 문재인의 외교 무능과 안보 파괴의
윤석열 대통령은 6일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67)을 신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후보로 지명했다. 이동관 방통위원장이 지난 1일 국회 탄핵소추안 표결에 앞서 자진 사퇴한 지 닷새 만이다. 또한 국가보훈부 차관에는 제2연평해전 승전 주역인 이희완(47) 해군 대령을 임명했다.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인선을 발표하며 “김 후보자는 어린시절 부모를 여읜 후 농사일을 하며 세 동생의 생계와 진학을 홀로 책임지고 뒤늦게 대학에 진학한 후 법조인이 된 입지전적 인물”이라고 했다. 김 후보자는 1956년 충남 예산에서 2남 2녀 중 맏이로 태어났다. 초등학교 5학년 때 어머니를 여의고, 고등학교 2학년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 1972년 예산고 졸업 후 세 동생을 부양하느라 대학에 진학하지 못했지만, 3년 후인 1975년 장학생으로 충남대 법대에 입학했다. 김 후보자는 과거 언론 인터뷰에서 “세 동생을 제가 맡게 됐을 때 동지섣달 대밭을 울리며 불어대는 찬바람을 견디며 살았다”고 당시를 회고했다. 김 후보자는 1982년 사법고시 합격 후 서울중앙지검 3차장과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 등을 지낸 ‘특수통’ 검사 출신이다. 2011년 대검 중수2과장이었던 윤
국민의힘 소속 서산시·태안군 시도의원들이 지난 5일 더불어민주당 당원의 가짜뉴스 유포에 대해 “최근 우리 지역에서 무차별적으로 배포된 가짜뉴스를 배포한 자들을 수사기관에 고발조치한다”고 전했다. 의원들은 이날 서산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 4월 10일 치러질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벌써 넉 달 앞으로 다가왔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우리 국민의힘 소속 시도의원 일동은 내년 선거가 깨끗하고 공정한 선거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기를 기원하며 노력하고 있다”며 “그런데 안타깝게도 최근 서산시·태안군 주민들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악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가짜뉴스가 유포돼 사회적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고 밝혔다. 의원들은 “서산·태안에 지역구를 둔 국회의원을 낙선시키려는 목적이 농후한 일련의 행위가 허위유포에 해당한다”며 “해당 가짜뉴스는 우리 지역 성일종 국회의원의 사진과 함께 ‘팩트체크, 역대 최대 국비 확보?’라는 제목을 달고 있고 마치 충청남도 홈페이지에 게시된 ‘지자체별 2023년 예산’이라는 자료를 인용한 것처럼 가장하여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해당 카드뉴스에 대해 “가짜뉴스를 이용해 진흙탕 선거로 만들
통일교 관계자들과의 면담 의혹을 부인했던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의 해명이 하루 만에 거짓으로 드러났다. 일본 아사히 신문은 5일 기시다 총리가 자민당 정치위원장 시절인 2019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구 통일교) 친선단체 대표를 만났으며, 이 자리에 미국 전 통일교 회장도 동석했다고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또한 아사히 신문은 당시 촬영된 것으로 보이는 사진을 입수해 전격 공개했다. 면담 당일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진에는 4명이 인물이 나란히 서서 함께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이 담겼다. 왼쪽부터 가지쿠리 의장, 깅그리치 전 의장, 기시다 총리, 젠킨스 회장이 모두 웃는 표정으로 카메라를 바라보고 있다. 아사히 신문에 따르면 기시다 총리는 자민당 정치위원장이던 2019년 10월 4일 당 본부에서 일본을 방문 중이던 뉴트 깅그리치 전 미국 하원 의장을 만났다. 관계자에 따르면 이 사이비 종교의 친목 단체인 ‘하늘평화연맹(UPF)’ 일본 회장 카지쿠리 마사요시(加若吉)와 UPF 인터내셔널 회장이자 미국 교단의 전 회장인 마이클 젠킨스(Michael Jenkins)도 참석했다. UPF는 통일교 창시자인 문선명 전 총재와 그의 부인
대장동 특혜 의혹의 핵심 증인인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이 5일 자신의 승용차를 타고 가던 중 대형 화물차와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했다. 6일 경찰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 30분쯤 경기 의왕시 부곡동 봉담과천도시고속화도로 봉담 방향 도로에서 유 전 본부장이 탑승한 승용차가 8.5톤 카고트럭과 추돌했다. 이 사고로 3차로로 달리던 유 전 본부장 차량은 뒤에서 화물차가 부딪힌 충격으로 180도 회전하며 1차로까지 튕겨져 나가 중앙분리대를 들이받은 뒤 멈췄다. 당시 유 전 본부장은 서울에서 지인과 저녁 식사를 한 뒤 경기 화성시 자택으로 돌아가던 중이었다. 유 전 본부장의 차량은 대리기사가 운전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 전 본부장은 뒷자석에 탑승하고 있었고 다른 동행자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사고를 당한 유 전 본부장은 두통과 허리 통증을 호소해 119 구급차로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다행히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경찰은 자세한 사고경위를 조사 중이다. 심민섭 기자 darklight_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