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짜뉴스는 인간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와 사례가 다수 보고되곤 한다.
가짜뉴스가 개인 간 신뢰를 무너뜨리거나 가족·친구 사이 충돌을 유발하는 경우가 흔하게 나타난다. 특히 젊은 층에서 실제로 가족이나 친구 사이의 갈등으로 이어진 케이스가 40%에 달한다는 해외 조사 결과도 있다. 거짓 정보에 휘둘리면 서로의 판단력이나 가치관에 대해 의심이 커지고, 이로 인해 인간관계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가짜뉴스는 자극적이고 감정적으로 설계된 경우가 많아 분노·불안 등 극단적 정서를 유발한다. 이는 언쟁이나 오해를 키워 인간관계 갈등의 단초가 된다. 특히 사회적으로 불안한 상황이나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에는 가짜뉴스에 더 취약해지고, 비판적 사고가 약해져 갈등이 증폭된다.
가짜뉴스로 인해 실제 현실에서 폭력이나 극단적 행동이 벌어진 사례가 있으며, 결정적으로 신뢰와 사회적 결속력이 약화된다. 한국 사례에서도 연예인 관련 허위 정보로 주변인 피해가 발생한 예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피로감이나 오해를 넘어 심각한 인간관계 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가짜뉴스는 인간관계에 신뢰 하락, 갈등 증폭, 사회적 결속력 약화 등 여러 방식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인간관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검증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실에 근거해 소통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희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