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확증편향 때문에 사람들은 어떤 유형의 가짜뉴스를 더 잘 믿는가

자신이 옳거나 또는 옳았다고 믿을 수 있는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거나
사회적 논란이 큰 이슈, 짧고 자극적인 형태의 허위 정보 신뢰도가 더 높아져

 

정보 수용자가 가짜뉴스를 제대로 걸러내지 못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으로 확증편향을 꼽는다. 이 확증편향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이 이미 믿고 있거나 원하는 신념과 부합하는 유형의 가짜뉴스를 더 잘 믿는 경향이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정치적 입장, 사회적 가치, 종교 등 기존 신념과 일치하는 가짜뉴스를 사실로 받아들이기 쉽다. 반대로 신념과 배치되는 정보는 쉽게 무시하거나 불신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자신이 옳거나 또는 옳았다고 믿을 수 있는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거나 사회적 논란이 큰 이슈, 또는 짧고 자극적인 형태로 퍼지는 허위 정보가 확증편향과 결합하면 그 신뢰도가 더 높아진다.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내용도 신뢰를 증폭시킨다.


또한 집단 정체성 관련 뉴스의 경우엔 특히 더 쉽게 가짜뉴스에 빠진다. 정당, 지역, 계층 등 자신이 소속감을 느끼는 집단의 입장을 지지하거나 상대 집단을 비난하는 내용의 가짜뉴스가 특히 잘 믿어지고, 쉽게 확산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선거, 정책, 특정 인물 등 정치적·사회적 이슈에 대한 허위 뉴스와 건강, 안전, 환경 등 개인적 불안을 자극하는 자극적 허위 정보가 쉽게 유통된다”면서 “확증편향은 기존 신념에 부합하거나 감정적으로 자극적인 유형의 가짜뉴스를 더욱 잘 믿게 만드는 핵심 심리적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송원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