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소액결제 피해가 가입 기간·세대를 불문하고 광범위하게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해킹이 특정 계층을 노린 것이 아니라 무차별적으로 이뤄진 범죄였음을 시사한다.
22일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이 KT 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소액결제 피해자 총 362명 가운데 20년 이상 장기 가입자가 10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1999년 가입자 3명, 2000년 2명, 2002년 1명, 2004년 4명이다.
가장 최근 개통 피해자는 2025년 7월 7일 가입자였으며, SKT 해킹 이슈가 확산된 시점인 2025년 4월 이후 가입자도 총 16명으로 확인됐다. 통신사 기준으로는 KT 303명, KT망 알뜰폰 59명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 광명시가 233명(피해금액 1억 5124만원)으로 가장 피해자가 많았고, 이어 서울 금천구 59명(피해금액 4314 만원), 경기 부천시 소사구 22명(피해금액 1757 만원), 경기 과천시 19명(피해금액 720만원), 서울 동작구 11명(피해금액 707만원) 순이었다 .
연령대는 40대 95명이 가장 많고, 30대와 50대가 각각 90명으로 뒤를 이었다. 60대 47명, 20대 36명, 70대 이상 4명으로 30~50대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5G 요금제 이용자가 262명으로, 전체의 상당 비중을 차지했다 .
김장겸 의원은 “피해자 현황을 보면 특정 계층이나 연령이 아닌 무차별적 침해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개인이 아무리 주의를 기울였더라도 막기 어려운 사태였던 만큼, KT 에 근본적 책임이 있으며, 손해배상은 물론이고 재발 방지를 위한 확실한 대책을 즉시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송원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