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노조가 주 4.5일제 도입과 임금 인상을 주장하며 총파업을 선언한 데 대해, 매일경제는 “그렇지 않아도 한국 경제의 생산성이 낮은데 문제를 더욱 고착화시킨다”고 우려했다.
금융노조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근무시간을 기존 4시에서 4시30분으로 늘리는 대신 금요일에는 오전 근무만 하겠다는 것이다. 매일경제는 26일 <억대 연봉 은행원의 총파업 명분이 '주 4.5일제'라니> 제목의 사설에서 “평균 연봉 1억원이 넘는 은행원들이 임금은 더 받으면서 일은 덜 하겠다며 파업에 나서는 것”이라며 “국민 시선은 따가울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신문은 “사회적 논의가 무르익기도 전에 금융권에 4.5일제가 도입된다면 중소기업 등과의 격차가 벌어져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심화할 수 있다”며 “금요일 결제·해외 결제 차질도 염려된다”고 우려했다.
신문은 금융노조가 저성장 극복을 위해 근로시간 단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데 대해, “생산성 향상 없는 근무시간 단축은 저성장을 부추길 뿐”이라고 반박했다.
신문은 “2023년 기준 한국의 취업자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6만5000달러로 OECD 36개국 중 22위에 그쳤다”며 “2018~2023년 사이 임금은 연평균 4% 증가한 반면 노동생산성은 1.7% 증가에 그친 여파”라고 지적했다. 이런 구조가 고착되면 기업과 국가 경쟁력은 약화하고, 결국 일자리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신문은 또 노동계가 임금 삭감 없는 주 4.5일제를 요구하는 것에는 “시간당 인건비 부담이 급증하면 노동집약적 산업과 중소기업은 이를 감당할 여력이 없다”며 “근로시간 감소로 총임금이 줄어들면 생계에 어려움을 겪거나 투잡을 뛰어야 하는 노동자도 늘어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