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를 목적으로 뉴스전문채널 YTN 관계자들을 대거 증인으로 채택하면서 YTN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민주당은 YTN 민영화 과정을 따져보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채택된 증인 중엔 민영화와 무관한 사람도 즐비한 데다 YTN이 민영화를 통해 어렵게 정상화로 나아가는 것을 민주당이 훼방놓는다는 반발이 YTN 내부에서 나온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민희)는 이번 국정감사를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108명의 증인과 53명의 참고인을 채택했다. 이 중에는 YTN 김백 사장과 회사 대주주인 유진그룹 유경선 회장을 비롯해 15명의 회사 관계자들이 무더기로 포함됐다. 국민의힘에선 “기업인과 언론사 사장은 제외해야 한다”고 요구했지만, 민주당은 지난 2월 방통위가 ‘2인 체제’로 YTN 최대주주 변경 심사를 처리한 과정을 회사 관계자들에게도 캐묻겠다는 방침이다.
YTN은 이같은 증인 채택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회사는 “과거 군사독재를 뛰어넘는 의회독재의 목불인견”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26일 YTN은 성명을 통해 민주당의 행태를 정면 비판했다. 회사는 “증인으로 채택된 YTN 김백 사장은 민영화 이후 선임됐고 민영화 이전엔 공무원은 물론 YTN 직원도 아니었다”며 “ 현재의 YTN 경영진이 민영화와 도대체 무슨 관계가 있다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또 “더욱이 그룹회장을 비롯한 유진그룹 경영진을 무더기 증인 채택한 것은 시장경제를 전면 부정한 것”이라며 “유진그룹은 정부의 YTN 공기업 지분 매각 민간 입찰에 참여해 3200억 원의 최고 입찰가를 적어낸 끝에 YTN의 대주주가 됐을 뿐”이라고 반발했다. YTN은 지난해 상반기에도 41억 적자를 내다가 같은해 10월 유진그룹이 회사 전체 지분의 30.95%를 인수하면서 대주주로 올라섰다. 유진그룹은 지난 1997년 부천지역 종합유선방송사인 드림시티방송과 은평방송 등 케이블TV 사업을 영위한 경험이 있다.
YTN은 “이(민영화) 과정을 굳이 들여다보겠다면 YTN의 공기업 지분 매각 절차를 진행하고 YTN의 최다액 출자자 변경 신청을 승인한 정부 관계자를 증인으로 불러내는 게 상식”이라며 “또 YTN 인수와 무관한 그룹 회장의 동생을 증인으로 채택한 것도 모자라 동생의 80대 장인까지 증인 명단에 올렸다”며 황당하다고 했다.
회사는 YTN 언론노조위원장 출신인 노종면 민주당 의원이 과거 회사에서 해고되는 과정에서 갖게 된 원한을 풀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까지 공공연히 언급했다. 회사는 “배석규 유진ENT 사외이사는 방통위가 YTN의 최다액 출자자 변경 신청을 승인한 이후에 유진ENT의 사외이사로 선임됐다”며 “그런데도 증인에 채택된 것은 과거 노종면 씨가 YTN에서 해고됐을 때 사장을 역임한 배 이사가 노 씨의 복직에 대해 부정적이었던 것에 대해 사적 원한을 품은 노 씨가 국감을 빌미로 보복한다는 의심까지 든다”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민주당의 이런 반민주적·반시장적 태도는 YTN은 ‘내 편’, 심지어 ‘내 것’이라는 정치적 탐욕에서 기인한다”며 “선거로 합법적 절대다수가 된 민주당은 각종 특수 목적형 입법으로 ‘공포 회로’를 지속 가동하고 YTN을 그 함정에 빠뜨리려고 한다”고 호소했다. 또 “‘군부 독재’ 만큼이나 ‘의회 독재’도 민주주의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다”며 민주당을 ‘독재’ 세력으로 규정했다.
송원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