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원식 국회의장이 대통령선거와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진행할 것을 제안하자, 언론은 이를 반기면서도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조선일보는 “이 대표가 지난 대선에서 공약으로 내걸었던 임기 단축에 대해 입장을 바뀌어선 안 된다”고 당부했다. 중앙일보도 “개헌 논의의 최대 걸림돌인 이 대표가 입장을 공식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매일경제는 “이 대표가 거부한다면, 하자 많은 대통령제를 향유하고자 하는 속셈이 드러나는 것”이라고 밝혔다.
조선일보는 7일 <우 의장 "대선, 개헌 동시 투표" 국회 특위 발족이 관건>이라는 사설에서 “개헌에 대한 공감대는 국민적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계엄과 탄핵이라는 국가적 위기가 뜻밖에 개헌 기회를 열어준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설은 이 대표를 향해 “이제 당선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자 태도가 달라졌다”며 “민주당의 이 대표 측근들도 우 의장 제안에 반대나 유보적 태도를 보였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주요 대선 후보는 개헌을 공약했다가 당선이 유력해지면 입장을 뒤집곤 했다”며 “이 대표와 민주당이 적극적 의지를 보여주길 기대한다. 힘들게 찾아온 절호의 기회를 놓친다면 역사에 죄를 짓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앙일보도 이날 <국회의장의 개헌 국민투표 제안 적극 환영한다>라는 사설에서 “우 의장 지적대로 새 정부가 들어서면 개헌 동력이 급격히 떨어질 우려가 있다”며 “그러니 정치권이 합의 가능한 부분만 먼저 추려 국민투표에 부치는 게 최선”이라고 밝혔다.
사설은 “그동안 개헌 논의의 최대 걸림돌은 이 대표였다”며 “이 대표까지 조속한 개헌 추진 입장을 공식화한다면 이제 개헌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된다”고 강조했다.
매일경제는 <두달 후 대선, 개헌공약으로 국민선택 받아야>라는 사설을 통해 “당장 이번 대선과 개헌 투표를 함께 하자는 주장도 있지만, 촉박한 일정과 국민적 합의를 고려할 때 지금부터 개헌안을 만들고 국회 협의를 거쳐 내년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에 부치는 방안이 현실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민주당과 이 대표를 향해 “이마저 거부한다면 하자 많은 대통령제를 계속 향유하고자 하는 속셈을 드러낸 것으로, 국민 심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사설은 “(헌법재판소는) 다수당의 책임을 지적했다. 민주당과 이 대표가 이를 곱씹어 보기 바란다”며 “남의 실책에 편승하겠다는 생각은 버리고 국민의 개헌 여망을 엄중하게 받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민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