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언론노조 가입한 직원에게만 '솜방망이 처벌'?..."MBC는 차별이 살아있는 계급사회"

MBC 제3노조 "제3노조 직원은 정직 6개월인 반면 오보낸 언론노조 가입 직원은 감봉만"
최경환 부총리 관련 MBC 과거 보도도 논란, "아니면 말고 식의 전형적인 가짜뉴스"

 

MBC 제3노조가 성명서를 내고 MBC가 민노총 산하 언론노조에 가입한 직원과 그렇지 않은 직원에 대해 차별적인  징계 결정을 내린다며 그 부당함을 공론화했다. 최승호 MBC 전 사장의 과거 무분별한 징계도 재조명되고 있다.

 

제3노조는 지난 14일 ‘MBC, KT 오보..경제팀장이 저질렀나?’ 제하의 성명서를 통해 “MBC는 차별이 살아있는 계급사회”라고 지적했다. 제3노조는 KT 사장에 지원한 김성태 전 비례대표 의원을 김성태 전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로 잘못 보도한 MBC 기자 2명이 각각 1개월,  2개월 감봉 징계를 받은 것에 대해 “솜방망이 징계”라고 비판했다. 이어 제3노조는 “취재기자는 자신의 기사를 책임지고 마지막 방송클립 점검까지 감독할 의무가 있다”라면서 “동명이인의 얼굴을 못알아봤다면 이는 취재기자의 책임”이라고 지적했다.

 

제3노조는 “과거 MBC 정상화위원회는 반론을 제대로 안실었다는 이유 등으로 담당기자를 해고하고, 이후 법원의 해고무효 판결로 복직한 기자에게 다시 정직 6개월의 징계를 내린적이 있다”라고 밝혔다.

 

제3노조에 따르면 당시 담당 기자는 제 3노조 소속으로, 기사 팩트에서 허위사실은 없었는데도 해고무효와 복직 판결 후 다시 정직 6개월을 받은 반면 (김성태 오보의 당사자인) 홍신영 기자는 언론노조원 소속으로 감봉 2개월의 징계에 그쳤다. 즉, MBC가 언론노조에 가입한 직원에겐 ‘솜방망이’ 징계를, 가입하지 않는 직원에겐 ‘과한’ 징계를 결정했다는 것이다. 

 

MBC의 징계 관련 논란은 과거에도 있었다. 지난 1월 뉴데일리는 ‘’2017 MBC 잔혹사‘...해고, 또 해고‘ 제하의 기사를 통해 최승호 전 MBC 사장의 무분별한 징계를 지적했다. 뉴데일리에 따른면 MBC정상화위원회는 최승호 사장 부임 직후인 2018년 1월 19일 출범해, 그동안 사내에서 벌어진 ▲방송 독립성 침해 ▲사실의 은폐‧왜곡 ▲부당한 업무지시 ▲방송 강령 위반 ▲부당 해고 및 징계 등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겠다며 총 262명을 조사해 12명에 대한 징계를 요청했다. 징계를 받은 8명은 MBC노동조합(통칭 제3노조)과 MBC공정방송노조(통칭 제2노조) 소속원이었고, 비노조원은 4명이었다. 뉴데일리는 MBC정상화위원회 주도 세력인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 MBC본부(통칭 제1노조) 노조원은 단 1명도 없었다고 밝혔다.

 

당시 MBC정상화위원회의 1호 조사 대상은 ‘안철수 후보 박사학위 논문 표절 의혹’ 기사를 작성한 현원섭 기자였다. MBC정상화위원회는 보도 5년반이 지난 시점에 워싱턴 특파원으로 근무중이던 현 기자를 소환했고, 현 기자는 5차례의 강압적인 소환 조사를 받은 뒤 2018년 5월 해고됐다. 정상화위원회는 ▲ 제보에 대한 검증 부재 ▲ 사실 확인의 오류 ▲공정성 외면 ▲소극적 반론 부여 등의 근거로 현 기자가 사규를 위반했다고 주장했지만 서울서부지방법원은 ‘보도 대상이었던 두 논문의 특정 문장들이 유사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해고는 부당하다고 판결했다. 이에 MBC는 2019년 5월 현 기자를 복직시켰으나, 2020년 1월 현 기자에게 6개월 정직의 중징계를 내려 논란이 됐다.

 

 

2021년에는 MBC가 “(벨류인베스트코리아) 이철 전 대표는 최경환 부총리 관련 자금이 한모씨와 김모씨 OO홀딩스와 OO문화재단, OO증권 및 금융기관 이름으로 들어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구체적으로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이철 전 대표의 회사 밸류인베스트코리아는 3만3000여명을 상대로 7000억원의 사기 행각을 벌인 투자 사기업체다. 보도 직후 최 전 부총리는 성제 MBC 사장과 민병우 보도본부장, 기자 등을 검찰에 고소했다. 

 

당시 이 전 대표 관련 보도를 이끌었던 장인수 MBC 기자는 라디오 방송에서 “이철 대표가 최종 확인한 건 아니니까 이철 대표가 틀릴 수도 있고 최경환 전 부총리가 거짓말하는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최경환 전 부총리가 실제로 투자를 안 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최 전 부총리 측은 장 기자의 발언에 대해 “이는 아니면 말고 식의 전형적인 가짜뉴스”라면서 “장 기자 본인도 이런 사실을 알고 있다는 걸 스스로 인정한 것이다. 죄질이 나쁘다”고 비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