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2000억원을 들여 만든 해수담수화 시설, "방사성 물질 나온다" 가짜뉴스에 9년째 고철 신세

일부 환경 단체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만들어낸 물에 삼중수소가 들어 있어 주민 건강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다" 주장
검사 결과 '방사성 물질 미검출', 환경 단체 주장 명백한 가짜뉴스 판명
그럼에도 환경단체 기장군 해수담수화 시설에 ‘방사능 물’ 딱지 붙여

 

국토부 R&D(연구개발) 사업으로 2000억원을 들여 만든 부산 기장군의 해수담수화 공장이 “방사성 물질이 나온다”라는 가짜뉴스로 인해 부식된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고 전해졌다. 

 

지난 25일 조선일보가 확인해본 결과 부산 기장군의 해수담수화 공장은 불이 꺼진 채 인기척이 없었고, 공장 밖 탱크 등은 군데군데 녹이 슬었다. 

 

28일자 이 신문에 따르면 기장 해수담수화 공장은 부산시 등 기장군 일대의 부족한 식수 확보를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2014년 11월에 완공됐다.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은 총사업비 1954억 원을 투입해 만든 것으로 하루 4.5만t이라는 엄청난 규모의 담수 만들어낼 수 있다. 해수담수화 설비는 한국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평가가 많기 때문에 물 부족 문제 해결과 관련 일자리 창출에 대한 기대가 컸던 사업이었다.

 

그러나 탈핵(脫核)을 주장하는 일부 환경단체가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만들어낸 물에 고리원전에서 나온 삼중수소가 들어 있어 주민 건강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식으로 왜곡된 주장을 펴면서 작동을 멈추게 되었다. 환경단체는 시설에서 11km 떨어진 고리 원전을 근거로 “원전이 가까우니 삼중수소 같은 방사성 물질이 섞여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해 주민들의 불안을 부추겼다. 결국 주민들의 원성도 커지면서 국내 첫 해수담수화 시설은 9년째 멈춰 있는 상태다.

 

환경단체의 주장과 달리 실제 해수담수화 시설에서는 방사성 물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2015년 해수담수화 시설을 가동해 만든 담수에선 기준치 이상의 방사성 물질이 단 한 번도 검출되지 않았다. 부산시 상수도본부도 과학적으로 검사해본 결과 방사성 물질 중 하나인 삼중수소가 생산한 담수에서는 단 한번도 기준치(리터당 1~1.4베크렐) 이상으로 검출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는 강물에서 평균적으로 검출되는 1~2베크럴에도 못미치는 수치이다. 이에 이재기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명예교수는 “일반 강물로 만든 수돗물보다 (기장군) 담수화 시설의 담수에서 삼중수소가 더 적은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 수질연구소 관계자도 “미국위생재단(NSF)에도 10여 차례 삼중수소를 포함한 방사능 관련 52항목의 검사를 의뢰했지만 모두 수질 기준 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말했다. 심지어 만든 담수를 공무원들이 직접 마시는 모습까지 보였다.

 

그럼에도 일부 환경단체는 기장군 해수담수화 시설에 ‘방사능 물’이라는 딱지를 붙였다. 환경ㆍ시민단체는 담수화 시설이 시험 가동될 당시 “원전 인근 해수 담수 방사능 물 공급”, “방사성 물질이 포함됐을 수 있는 물 공급 반대”라고 주장했다. 마을 곳곳에는 ‘방사능 물’, ‘핵 수돗물’ 같은 용어가 적힌 피켓을 붙였다. 

 

환경단체의 ‘가짜뉴스’ 선동에 해수담수화 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불신은 커져만 갔다. 기장군 일대에서 건어물 가게를 운영하는 김모씨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담수화 시설로) 수돗물이 공급된다고 해도 마시기가 꺼려질 것 같다”고 했다. 기장에서 자란 30대 여성도 “주변 의견을 들어보면 고리 원전수 이야기 때문에 먹지 않겠다는 사람이 많다”고 했다.

 

이른바 ‘방사능 가짜뉴스’로 인해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은 고철로 변하고 있다. 부산시 상수도본부 측은 “우리 검사 결과를 믿지 못한다고 해서 미국에도 열 번이나 검사를 의뢰해 ‘안전하다’는 결과를 받았는데 ‘방사능 물’이라고 딱지를 붙이니 정말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공업용수로 쓰는 방안도 검토됐지만 하천수를 사용한 용수보다 최대 2배 이상 비싼 단가 때문에 수요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무산돘다. 지난해 6월에는 상주하던 부산시 상수도본부의 수질 관리 직원2명도 철수했다. 환경부가 지난해 말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 활용 방안’을 위한 연구 용역을 의뢰해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한 계획이지만 공장 재가동은 쉽지 않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