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가 포털 공정성 등 여러 비판이 제기되자 활동을 잠정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일부 위원들에 대한 정치적 편향성 지적에 일단 반응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포털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에 뉴스를 공급하는 국내 언론사들을 평가·심사해 포털 입점과 퇴출을 관리하는 기구인 제평위는 오는 7월 2.0 출범을 앞두고 활동을 잠정 중단한다. 그동안 포털을 둘러싼 여러 비판이 제기되어 제평위는 관련 회의를 무기한 연기하는 등 난항을 겪어왔다. 포털업계 관계자는 "일각에서 제기한 우려들을 종합 반영해 개선방안이 마련된 뒤 활동을 재개할 방침"이라고 했다.
제평위의 잠정 중단 배경으로는 제휴사 가입 등 운영 과정 및 평가 기준 등에 의문을 제기하는 언론사들의 목소리가 거론되고 있다. 심영섭 경희사이버대 겸임교수는 지난 4월18일 '포털뉴스와 언론의 자유' 정책 토론회에서 "네이버 제휴는 검색·스탠드·콘텐츠 제휴 등 세 단계로 이뤄져 있고 각각 점수는 60·70·80점으로 평가 기준이 같다"며 "기자 3명으로 운영하는 언론사나 300명 있는 언론사가 같은 기준에 따라 경쟁하기 때문에 공정한 심사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했다.
평가위원들의 정치적 편향에 따른 각계의 비판도 이번 활동 중단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MBC노조는 지난달 14일 성명을 통해 한상혁 방통위원장의 부인이 지역여성민우회 대표라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여성민우회가 네이버의 제휴평가위원회에 들어가게 된 것을 비판했다.
MBC노조는 또 제평위에 가입한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와 시청자미디어재단은 미디어단체가 아닌 지자체가 운영하는 단체라고 지적했다. 이어 "좌파 인사와 미디어단체들은 한 사람 건너, 한 단체 건너 모두 연결되어 있다"면서 "그러한 사람들이 이름만 달리하여 2중 3중으로 네이버·카카오 제평위에 들어가 좌파 미디어 세상을 만들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철규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지난 3월 국내 1위 포털 네이버를 겨냥해 "대한민국을 사실상 좌지우지하는 빅브라더 행태를 보이는 오만한 작태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엄포를 놨다. 김승수 의원(국민의힘·대구 북구을)은 "선정적인 기사, 가짜뉴스, 편파보도, 이런 것들을 조장하기까지 하는 실정"이라고 했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도 페이스북을 통해 "3년 전 폐지된 실검과는 다른 서비스인 양 포장했지만 사실상 실검을 부활시키는 꼼수"라고 지적했다. 김상훈 의원(국민의힘·대구 서구)도 "네이버와 다음이 '키워드 추천'을 도입한다고 한다"며 "과거 '실검'으로 정치 여론을 좌지우지하고 이를 통해 막대한 이익을 창출했던 '조작주도성장'을 복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김승수 의원은 지난 4월 포털의 기사 배열 기준 등을 심의하는 인터넷뉴스진흥위 설치 법안을 발의했다. 대통령실도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를 출범해 같은달 17일 포털업체에게 지원을 받은 적 없는 교수 등 전문가 중심으로 미디어특위를 꾸렸다. 미디어특위는 포털 광고 배분, 제휴 심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알고리즘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뉴스 형태의 허위 조작 정보로 발생하는 인권 침해와 재산손실 등도 함께 논의한다. 이와 같은 움직임으로 제평위가 무력화될 수도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