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C '뉴스데스크'가 노골적으로 조국혁신당 박은정 비례대표(1번)를 편드는 편파 보도에 대해 MBC노동조합(제3노조, 비상대책위원장 오정환)이 강력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제3노조는 3일 성명을 내고 MBC ‘뉴스데스크’가 “’이종섭 전 호주대사 관련 기사는 61번, 조국혁신당 박은정 후보 남편인 이종근 전 검사의 다단계업체 거액 수임에 대해서는 1번 보도했다”고 비판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박 후보자의 남편인 이 전 검사의 다단계업체 거액 수임에 대해 MBC는 4월 1일 마지막 단신을 인터넷에 올려놓았다. 국민의힘이 고발할 예정이라는 내용이지만 무슨 법 위반인지도 알 수 없는 부실한 기사였다. 2일 국민의힘이 이 전 검사를 대검찰청에 고발하자 수십 개 언론사들이 이를 보도했지만 MBC는 침묵했다. 이에비해 '뉴스데스크'는 이 전 호주 대사와 관련해 한 달 동안 61번,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의 실언을 보름 동안 20번 리포트했다.
MBC가 이 전 검사를 언급한 단신은 네 번 더 있었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혜택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두둔하고, 새로운미래가 박 후보의 사퇴를 요구한 기사 등이었다. 이 기사들은 모두 인터넷에 게재됐을 뿐 TV 뉴스에 방송된 흔적이 없다.
MBC ‘뉴스데스크’는 이 전 검사의 다단계업체 거액 수임을 주제로 딱 한 번 리포트했다. 3월 28일 ‘뉴스데스크’ 로컬 타임 때 더불어민주당 양문석 후보의 '사기 대출' 의혹 기사 뒤에 세 문장을 붙여 방송했다. 그밖에 여야 유세 기사에서 이 전 검사를 두 번 더 언급했지만 ‘다단계’라는 말은 없었다.
MBC 제3노조는 이날 “다단계 범죄 전문 검사가 퇴직하자마자 다단계업체 편에 선 것은 결코 도덕적이라 할 수 없다”며 “그가 받은 11억 원은 다단계 피해자들에게 돌려줘야 할 돈의 일부일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사건 피해자들은 ‘피해자에게 돈이 나올 리 없으니 전관 변호사가 피의자에게 붙은 게 아니냐’며 절규했지만 MBC는 그런 보도도 하지 않았다”며 “MBC는 이 전 검사가 대검 형사부장일 때 보고받았던 코인 사기 사건까지 수임했다는 기사를 단신 하나 쓰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심민섭 기자 darklight_s@naver.com